십신(十神)2021-07-06T15:09:16+09:00

십신(十神)

십신모음

이란 일간을 중심으로 오행간의 상생 상극 관계를 정리한 오행간의 관계도 이며 나와 주변 사람 즉 육친간의 관계를 정의한 육친 조견도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십신은 아래와 같습니다.

比肩 : 일간인 나와 같은 오행

劫財 : 일간인 나와 같은 오행이면서 음과 양이 다른 것, 일간이 양이면 음, 일간이 음이면 양에 해당되는 같은 오행

食神 : 내가 생해주는 오행으로 일간과 같은 음양인 오행

傷官 : 내가 생해주는 오행으로 일간과 다른 음양인 오행

正財 : 내가 극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다른 음양인 오행

偏財 : 내가 극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같은 음양인 오행

正官 : 나를 극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다른 음양인 오행

偏官 : 나를 극하는 오행으로 일간과 같은 음양인 오행

正印 : 나를 생해주는 오행으로 일간과 다른 음양인 오행

偏印 : 나를 생해주는 오행으로 일간과 같은 음양인 오행

십신(十神 ) 간략 정리

십신(十神)이 가진 특징들을 간략히 정리해 봅니다.

나와 같은 사람형제친구조카동창상사선배경쟁자

나와 같은 사람자매친구동창생시아버지,동서,남편의 첩

고집불화쟁론분가고독양자독립이별분리 등의 특징이 있다.
사람들과 교제하기 싫어하며 자존심이 강하고 자기의 주장을 고집하여 타인과 불화하며 심성이 고독하다.

형제후배동업자이복형제거래인채권자하급생

자매후배남편의 첩동서종업원하급생

교만불손하고 쟁투심이 강하고 손해를 볼 수 있다.
또한 타인을 너무 낮춰 보는 버릇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부가 서로 상극하여 배우자가 변하는 경우가 많다.

장인장모조카손자할머니후배제자

자식손자조카후배

의식주가 풍부함을 의미하고 소득봉록자산가재 등 윤택함을 나타낸다.
또 신체가 비만한 경향이 있고 성질이 명랑 화창하며 복록이 많다.

조모손녀외조부제자외숙모자식

아들할머니산모

교만하여 사람을 얕보는 특성이 있다.
성품이 좋아도 타인의 오해와 비방을 받기 쉬우며세인의 반대방해경쟁실권소송 등을 야기하기 쉽다.

아내고모숙부백부백모처제

백부백모시어머니시이모

명예번영자산 또는 신용을 의미하고 복록을 나타낸다.
열심히 일해서 번 돈월급 등을 의미하고 남명에서는 정처에 해당한다.
명랑하여 주색을 좋아하며 색정에 빠질 염려가 있다.

남: 아버지처남외삼촌여자친구처의 형제

아버지시어머니손자아버지의 형제

재복은 많으나 단순히 금전의 출입이 빈번함을 의미한다.
일확천금복권당첨 등의 일시에 취득하는 돈으로 본다.
남자에게는 정처가 아닌 애인내연녀 등으로 볼 수 있다.
돈복과 여복은 많으나 이로 인해 재화를 당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자식조카매부

남편조모시동생시누이

명예 및 신용이 있으며 바른생활의 인격체이다.
정관이 너무 많으면 곤궁을 면치 못하며 여자는 일부종사하기 힘들다.
재성이 있으면 특성이 증가되고식상성이 있으면 권위 및 명예가 손상되고 상속 및 자식에게 해로운 일이 생긴다.

아들조부매부백모자식사촌형제

여자남편정부시누이애인남편의 형

편관의 특성은 권병완강,투쟁성급흉폭고독 등이 있어 두목군인협객검사판사수사관강도 등을 의미한다.
그러나 반대로 대귀 또는 대부하는 사람 중에 편관이 있는 사주를 가진 이가 많다.
식신이 있으면 편관의 특성은 억제되고,편재가 있을때에는 특성이 더욱 증가된다.
여명에 정관은 남편이고 편관은 정부나 애인으로 본다하지만 정관이 없는 편관은 남편으로 본다.

남자어머니이모장인선생님손자손녀

어머니사위손자손녀사촌형제증조부

지혜학문 및 총명의 특성이 있다.

편모서모계모이모할아버지

편모서모계모이모사위

편인의 가장 큰 특징을 도식이라는 말로 대변한다.
이것은 식신을 파극하므로 붙은 명칭 인데, 사주 형태상 편인이 식신을 극해하는 형상이 될 때를 도식이라 한다.
편인의 특성은 파재실권병재이별고독박명색난 등을 의미하며 사주에 편인이 많으면 불행하다.
인성이 의미하는 바가 학문교육,수양,예술이나 편인은 편중된 것을 의미하므로 정당성이 없는 인성으로 본다.
처음에는 부지런하나 곧 권태를 느껴 매사를 용두사미로 끝낼 수 있다.

을사(乙巳)_60간지생각_간지론

乙巳는 물상으로 보면 "초여름에 풀밭에서 먹이를 찾아 열심히 움직이는 뱀"의 형상이며 천간 을목이 지지의 사화를 바라볼때 십신으로는 상관, 십이운성으로는 목욕에 해당됩니다. 생명력이 사방으로 뻗어나가기 시작하는 초여름에 [...]

임신(壬申)_60간지생각

임신(壬申)의 물상은 "산에서 흘러나오는 계곡물"을 의미하며 천간 임수가 지지의 신금을 바라볼 때 십신으로는 편인, 십이운성으로는 장생에 해당됩니다. 천간과 지지가 모두 차가운 기운인데 임수가 신금이라는 장생지 위에 [...]

경진(庚辰)_60간지생각_간지론

경진일의 물상은 "늙은 용의 모습" 혹은 "하늘에 떠있는 별 아래 있는 용"의 모습입니다. 고래로 동양에선 용이란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진 신수로 일컬어 졌습니다. 이런 모습과 같이 [...]

사주_일주풀이_신미일

신미일의 물상은 "백양"이라 할 수 있는데 십신으로는 편인, 십이운성으로는 쇠에 해당됩니다. 양이란 동물은 조용하고 부끄러움이 많지만 십이운성 쇠에 해당되는 기운도 품고 있어 해질 무렵이면 울타리로 돌아가야 [...]

사주_일주풀이_병인

병인일의 물상은 "나무에 햇볕이 잘 드는 모습" 혹은 "한 낮에 숲속을 어슬렁 거리는 호랑이"의 모습입니다. 십신으로는 편인, 십이운성으로는 장생궁에 해당됩니다. 병화인 만큼 진취적인 기상이 있고 인목의 [...]

사주_일주풀이_신유일

신유일의 물상은 "잘 제련된 칼" 혹은 "입에 머금고 있는 칼날"로 묘사됩니다. 십신으로는 비견, 십이운성으로는 건록에 해당되는 일주로 강직하면서도 깔끔하고 예술적 자질, 기술적 장인정신이 뛰어납니다. 잘 제련된 [...]

Go to Top